1884. 09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알렌(Horace N. Allen, 安連)
의사 내한 한국 개신교 교회 중 최초의 교회인 "소래교회" 설립 |
1885. 04. 05 |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언더우드 목사, 미국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 목사 내한. |
1887 |
한국 최초의 교회 조직(장로교회) |
1887. 09 |
서울 새문안 교회 설립 |
1889. 10 |
韓國聖敎書會 창립(현 대한기독교서회). |
1893. 01 |
(장로회 선교부 공의회) 조직, 선교정책으로서 "네비우스 방법" 채택. |
1901 | [조선예수교장로회 공의회] 설치(미국 남북장로회 선교부, 호주 장로회 선교부, 가나다장로회
선교부 4개 장로회 선교부와 한국교회의 공동 공의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신학교] 설립(평양, 1년에 3개월씩 5개년 수업). 신약전서 완역. |
1905 |
[장로교연합신학교] 개설(평양). |
1907 |
신학교 제1회 졸업생 7인을 배출(徐景祚, 邦基昌, 梁旬伯, 韓錫晋,宋麟瑞, 吉善宙, 李基豊). |
1907. 09 |
[대한예수교장로회 로회] 조직(평양 장재대 교회에서 선교사 38명,한국인 회원 40인
회합). - 1년간 시험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신앙고백(신경)과 정치 형식을 제정. - 신학교 졸업생 7인을 목사로 장립. |
1910. 04 |
"구약전서" 완역 출판 |
1910. 09 |
제4회 "예수교장로회 조선로회"(평북 신천군 염수동교회) |
1911. 09 |
제5회 "예수교장로회 조선로회"(대구 남문안교회) |
1912. 09 | 제1회 "예수교장로회 조선총회"(평양, 경창문안여성경학원) - 노회수 : 7 노회(경기, 충청, 전라, 경상, 함경, 평남, 평북, 황해) - 회원수 : 목사 96인(한국인 52, 외국인 44) 장로 125인 |
1915. 09 |
제4회 총회(전주 서문밖교회), 장로회 정치 편찬위원 선정 |
1919 |
"찬송가" 발행, 장감 연합회 결의로 예수교서회 발행 |
1919. 10 |
제8회 총회(평양 서문밖교회) "만국장로회 연합협의회"에 대표파견 결의. |
1921. 09 |
제10회 총회(평양 장대현교회)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규칙" 발표. |
1922. 09 |
제11회 총회(서울 승동교회) "조선예수교장로회 헌법" 공포. |
1924 |
"조선예수교 연합공의회" 창설(장로회, 남북 감리회, 장감의 여섯 선교회, 성서공회, 중앙기독교청년회 연합으로). |
1925. 06 |
가나다 장로회, 감리회, 조합 교회가 연합하여 "가나다 연합교회"로 발족함. 본 장로회는 가나다 연합교회와 선교협력관계를 계속하기로 함. |
1927. 09 |
제16회 총회(원산 광석동교회). 헌법 수정위원 선정 |
1928. 09. 09 |
대구 신정교회에서 여신도회 창립총회 가짐. |
1932 |
면려 청년회 운동 시작. |
1934. 01 |
소요리문답, 신경 개역 출판. |
1934. 09 |
제23회 총회(평양 서문밖교회). 선교50주년 희년 기념. |
1937 |
구약성경을 한글 신 철자법으로 간행하기로 함. |
1938 |
평양 장로회 신학교 신사참배 문제로 폐쇄. 조선기독교연합공의회 해산. |
1939. 03 |
조선신학교 설립 기성회 조직(서울 김대현 장로 중심). |
1939. 09 |
조선예수교장로회 평양신학교 총회 직영으로 재개교. 제28회 총회(신의주 제2교회). 조선신학교 설립 경영 인정. |
1940. 04. 19 |
"조선신학교" 개교(서울 승동교회). |
1941. 11 |
제30회 총회(평양 창동교회). |
1946. 06 |
남부 총회(서울 새문안교회). 조선신학교를 총회 직영 신학교로 결의. |
1947. 04 |
제33회 총회(대구 제일교회). |
1948. 04 |
제34회 총회(서울 새문안교회). |
1948. 08. 10 |
조선신학교 문교부로부터 정규대학 인가. 장로회 신학교 창립 개교(서울 남산). |
1949. 01 |
"합동찬송가 발행" |
1949. 04 |
제35회 총회(서울 새문안교회). |
1950. 04 |
제36회 총회(대구 제일교회). |
1950. 12 |
군종제도 창설. |
1951. 04 |
"조선신학대학"을 "한국신학대학"으로 개칭. |
1951. 05 |
제36회 계속 총회(부산 중앙교회). 조선신학교 직영 취소. |
1952 | 제37회 총회(대구 서문교회)에서 다음 사항을 결의. 1. 조선신학교 졸업생에게 목사 안수 안하기로. 2. 김재준 목사를 목사직에서 제명 지시. 3. 제36회 총회시 성경축자 영감설을 부정한 조선신학교 교수 서고도 목사를 심사키로. 4. 각 노회에서 위 두교수의 사상을 찬성 지지하는 자는 처벌키로. |
1952. 05 |
제37회 총회에서의 불법 결의에 항의하는 호언대회를 소집하여(대구) 총회 불법결의 철회요청. |
1952. 09 |
대구 남산교회에서 호헌대회 개최 '성명서' 발표. |
1953. 04 |
제38회 총회(대구 서문교회). 전북노회, 충남노회 총대 회원권 박탈. |
1953. 06. 10 |
제38회 호헌 총회(서울 한국신학대학)를 소집하고 선언서를 발표 ([선언서] 참고). |
1953. 06. 10 |
청년회 전국연합회 새역사 시작(서울 한국신학대학). |
1953. 06. 10 |
여전도회 연합대회 새역사 시작(서울 한국신학대학). |
1954. 03 |
한국신학대학 대학원 개설(한국 최초의 정규신학 대학원). |
1954. 04 |
한남신학교 설립 개교. |
1954. 06 |
제39회 총회(서울 한국신학대학). 총회 명칭을 [대한기독교장로회]로 개칭. |
1955. 03 |
선교협력협의회(가나다 연합교회 대표 내한) |
1956. 05 | 제41회 총회(서울 성남교회). 1. 선교협의회 폐지 선교대책위원회 조직. 2. 부목사, 여장로 제도 채택. |
1957. 05 |
제42회 총회(청주 제일교회). [외래선교사업 위원회] 조직. |
1957. 10 |
"한국기독교연합회"(KNCC)에 가입(1959.12.부터 회원권
행사를 조건으로). "한국 세계기독교봉사회"(KCWS) 가입. |
1958. 05 |
제43회 총회(서울 동부교회) |
1959. 05 |
제44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강도사 고시를 총회에서 하기로 결의. 고시위원회 설치. |
1959. 10 |
"동남아기독교대회"(EACC)에 가입(현 아시아 기독교대회 CCA). |
1959. 11 | "세계장로회연맹"에 가입(현 세계개신교연맹, WARC). |
1959. 12 | "대한기독교교육협회"(K.C.C.E) 가입. |
1960 |
제45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 노회를 행정구역 단위(도단위)로 통합하기로 결정(18노회를 10노회로). |
1960. 08 |
[세계교회협의회](W.C.C)에 가입. |
1961. 05 | 제46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1. 총회 규칙 수정 공포. 2. [한국기독교장로회]로 개칭. 3. 총회 예식서(의례준칙) 제정. |
1962. 09 | 제47회 총회(목포 양동교회) 1. 정치수정 공포. 2. 총회 창립 50주년 기념예배. |
1963. 06 |
신우관 운영 이사회 조직. |
1963. 09 |
제48회 총회(부산 중부교회). |
1964. 09 |
제49회 총회(서울 성남교회). |
1965. 08 |
남신도회 전국연합회 조직 |
1965. 09 | 제50회 총회(서울 성남교회) 1. 제50회 총회 기념예배. 2. 한남신학교 졸업생에게 준목고시 응시 자격부여 결의. |
1966. 09 |
제51회 총회(서울 경동교회) |
1967. 09 |
개편 찬송가 발행 제52회 총회(서울 경동교회). |
1968. 09 |
제53회 총회(서울 경동교회). 일본 기독교단과의 협약 인준. |
1969. 03. 24 |
재단법인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유지재단 설립인가. |
1969. 03 |
선교협력협의회(가나다연합교회 세계선교부대표 내한). |
1969. 09 | 제54회 총회(서울 성남교회) 1. 총회 실행위원회 설치. 2. 선교기금 1억원 조성 결의. 3. 교단의 교육정책 인준 교회와 사회위원회 설치. |
1969. 12 |
이리 기독교회관 운영이사회 조직. |
1970. 09 |
제55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
1971. 09 |
제56회 총회(서울 성남교회). 사회선언지침 채택. |
1972. 09 | 제57회 총회(전주 중앙교회) 1. "총회 주일"을 3월 첫주일로 변경. 2. 한남신학교를 한국신학대학에의 병합 결의. 3. "신앙고백선언서" 채택. 4. 현직전도사 통신 신학교육 실시 결의(5년간). |
1973. 09 | "새 역사의 20주년 기념대회"(서울 초동교회) 제58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1. 새역사의 20주년 기념예배. 2. 선교정책 채택. 3. 헌법(정치편) 개정 공포. 1) 교회 직원 정년 은퇴제도 실시. 2) 권사 제도 실시. 4. 선교활동자유수호위원회 설치. |
1974. 03 |
선교협력협의회(가나다 연합교회 세계선교부 대표 내한). |
1974. 07 | 독일서남지구교회 및 선교협의회(EMS)와의 스튜트가르트협의회 (선교협력관계). |
1974. 09 | 제59회 총회(수원교회) 1. 여목사 제도 채택. 2. 해외선교사 파송 - 일본, 독일, 호주 |
1975. 09 |
제60회 총회(서울 경동교회) |
1976. 03 |
본 교단과 독일 서남지구교회 및 선교협의회(EMS), 백림선교협의회(BMW)간의 서울협의회(선교협약). |
1976. 04 |
선교교육원 개원. |
1977. 09 |
제62회 총회(서울 한일교회) - 예식서 개정 |
1978 |
새역사 25주년 기념행사. |
1978. 08 |
제63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총회선언서 채택. |
1979. 09 |
제64회 총회(광주 양림교회), 총회성명서 채택. 권징조례, 예배모범, 신앙요리문답
개정안 채택. WARC(세계개혁교회연맹 실행위원회 및 신학협의회 한국개최 (예장과 함께). |
1980 |
스코틀랜드 교회와 선교협약 체결. |
1981. 09 |
제66회 총회(서울 초동교회). |
1982 |
뉴질랜드 장로교회와 선교협약체결. |
1982. 09 |
제67회 총회(서울 초원교회) |
1983 |
미국연합교회와 선교협약체결. |
1983. 09 |
제68회 총회(서울 경동교회). 새역사 30주년 기념행사. |
1984. 03 |
생활보장제 실시. |
1984. 07 |
개척 교역자 선교대회 |
1985. 09 |
제70회 총회(전북 남원제일교회). 호주교회와 선교협약 체결. |
1986. 09 | 제71회 총회(전북 남문교회).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의 입장 1" 발표 |
1986. 11 | 선교자유와 폭력 추방을 위한 전국교역자대회 개최 |
1987. 09 | 제72회 총회(경기 안양중앙교회).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의 입장 2"
발표. 새 역사 50주년을 향한 3,000교회 운동 가결. "한국기독교장로회 1987년 신앙선언, 교회선교, 사회선교, 교회교육정책" 결의 |
1988. 09 |
제73회 총회(서울 가리봉교회). "평화통일에 대한 우리의 입장 3"
발표. 카나다교회, 한국선교100주년 기념예배. 정치치리 총람집 발간 결의. 평화통일주일 8. 15 직전 주일로 변경. |
1988. 11 |
스위스개신교연맹과 선교 협약 체결 |
1988. 12 |
민주화와 성역 수호를 위한 전국 교역자대회 |
1989. 08 |
세계개혁교회연맹 제22차 총회(연세대학교) |
1989. 09 |
제74회 총회(경인 광명교회). "분단 극복을 위한 회개와 화해 선언" 발표 |
1990. 09 |
제75회 총회(전남 유달제일교회) |
1991. 09 |
제76회 총회(전북서 이리제일교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신학연구소 설치 결의. "창조 질서 보전에 관한 우리의 결의" 발표 |
1992. 03 |
미국그리스도연합교회, 미국/카나다 그리스도 제자교회 공동 선교협약 |
1992. 06 |
"통일희년과 새 역사 40주년을 전망하는 1992년 교역자신도대회" 개최(양수리) |
1992. 09 |
제77회 총회(경남 진주제일교회) |
1993. 09 |
제78회 총회(서울 가리봉교회). 통일헌법특별연구위원회 설치 (개명, 통일헌법안제정위원회). 518 광주민주화운동 13주년 총회장 메시지 발표. 동부아프리카장로교회 선교협약 인준. 반민주 반통일 악법 철폐와 구속 양심수 석방을 위한 기도회 결의 |
1994. 09 |
제79회 총회(충북 충주서남교회). 우루과이라운드 국회 비준과 농어촌 피폐화에 따른 '농민과 농촌교회의 아픔을 함께 나누는 기도회' 개최(3. 29.) |
1995. 09 |
제80회 총회(서울 가리봉교회). 인도독립교회, 헝가리개혁교회 선교협약 결의. 케냐 동부아프리카개혁교회, 말라위 중앙아프리카개혁교회 선교 협약 인준. 518 양민 학살자 특별법 제정과 특별 검사제 도입을 위한 서명운동 결의 1996. 09 : 제81회 총회(광주 양림교회). |
1997. 06. 19-20 |
희년선교대회 개최(군산 월명 실내체육관). |
2000. 6 |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금강산 국토순례기도회 개최(1차) |
2002. 4. 16 | 농촌교회와 농민 북한 동포와 고난 받는 이웃을 위한 ‘사랑의 쌀 한포대 모으기 운동’을 전개하고, 쌀 6000포대를 북한에 전달 |
2002. 5. 21 | 필리핀연합교회와 선교협력 조인 |
2002. 12. 27 | 대한민국 정부가 김재준, 문익환, 서남동 목사, 안병무 박사에게 국민훈장 추서하고 문화관광부에서 ‘사회발전 유공 종교인 국민훈장 전수식’ 거행 |
2003. 2. | 제주에서 ‘새 역사 희년’, ‘희년신앙 7대 지침’ 선포 |
2003. 6. | 천안에서 ‘새 역사 희년대회’ 개최(목회자와 성도 1만 2천여명) |
2003. 9. | 제88회(새역사희년) 총회(경기 분당한신교회). ‘평화공동체운동본부’ 설치 결의 |
2005. 6. | 총회회관 및 여신도회 100주년 기념관 봉헌예배(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 |
2005. 1. | 목사후보생수련과정 시행 |
2005. 9. | 제90회 총회(광주 양림교회). 총회제정 파종주일(4월 둘째주일) 지정 |
2006. 5. | 평화공동체운동본부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에큐메니칼 국제심포지움’ 개최 |
2006. 9. | 제91회 총회(경기 동수원교회). ‘3,000교회를 위한 기장비전 2015운동’ 시행, ‘선교역사자료센터’ 설치(‘역사자료관’으로 개칭), 양성평등위원회와 교육위원회 신설 |
2007. 9. | 제92회 총회(경주교육문화회관). '신사참배와 부일협력에 대한 죄책고백 선언문'을 발표하고 제92회기 3·1절 기념주일을 ‘신사참배 회개주일’로 지정 |
2007.12. | 태안 앞바다 기름유출 사고 봉사활동(3차, 180여교회, 2,800여명 참여) |
2008. 9. | 제93회 총회(제주 해비치호텔)에서 ‘역사위원회’를 상임위원회로 신설, ‘생태공동체운동본부’ 설치, 교리헌법(신앙요리문답) 개정 허락 |
2008. 11. | 6.15공동선언 이행과 평화통일을 위한 공동기도회(평양) |
2009. 9. | 제94회 총회(서울남 강남교회). ‘3000교회를 위한 비전 2015운동본부’ 신설, 마다가스카르 예수그리스도교회(FJKM)와 선교협력 조인, 총회 선거 후보자 공청회 시행 허락 |
2010. 2. | 생명의 강 살리기 사순절 금식기도회(팔당유기농지 금식기도처, 연인원1,000여명 참여), 한반도 평화를 위한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서명운동 발대식 |
2010. 9. | 제95회 총회(강원 영강교회), 일본그리스도교교회(CCJ)와 선교협력 조인 |
2011. 1. | 한국기독교장로회 교회총람 발간 |
2011. 5. 25~26 | 한국기독교장로회 선교대회(기장체육관,5,400여명) |
2011. 9. | 제96회 총회(충남 덕산리솜스파캐슬), EMS(독일서남지구협의회) 회원 가입, 동티모르 개혁교회(IPTL)와 선교협력 조인, 비전2015운동 105개 교회 개척 협약식 |
2012. 4. |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 중단을 위한 시국 기도회 |
2012. 9. | 제97회 총회(강원 홍천대명비발디파크), 개척선교아카데미 시행 허락 |
2013. 6. 10 | 한국기독교장로회 새역사 60주년 기념예배(한신대학교), 새역사 60주년 선언서 발표 |
2013. 9. | 제98회 총회(군산 성광교회), 태국그리스도교교회(CCT)와 선교협력 조인 |
2013. 10. | WCC 제10차 부산총회(부산 벡스코,10.30-11.8) |
2014. 9. | 제99회 총회(전북 변산대명리조트), 한국기독교장로회 총회 개척자립선교센터 설치 허락, 호텔아카데미하우스 임대 및 총회본부 종로5가 이전 승인, 교단 총회 개최 장소를 5년 단위로 권역별로 시행하는 방안 허락, 총회정기위원 ‘총회주제위원’ 신설 |
2014. 12. | [총회본부]를 호텔아카데미하우스에서 종로5가 한국기독교연합회관으로 이전 |
2015. 4. 16 | 세월호 참사 1주기 기억예배 |
2015. 9. 14~17 | 제100회 총회(원주 영강교회) |
2015. 9. 17~19 | 국제협력선교동역자 귀국보고대회 |
2015. 11. 22 | 서울노회 삼일교회 불법 강제철거로 인한 대책 기도회 |
2016. 3. 3 | 총회 양성평등정책협의회(한국기독교연합회관) |
2016. 9. 27~30 | 제101회 총회(수원 라비돌리조트), 이재천 총무 당선 |
2017. 4. | 연무대군인교회 건축을 위한 헌금 |
2017. 6. 20 | 1975년 한신대 간첩조작 사건 무죄판결 감사예배(기독교회관 조에홀) |
2017. 9. 19~22 | 제102회 총회(경주 현대호텔, 군산 성광교회) |
2018. 1. 9 | 경북 포항 지역 지진 피해 교회를 위한 헌금 |
2018. 1. 26~27 | 총회 주최 제1차 청년신앙캠프(서천 청소년수련관) |
2018. 4. 17 | 전남노회가 전남노회, 전남서노회, 목포노회로 분립(해남읍교회에서 분립예식) |
2018. 4. 21 | 기장 신학모임 시작 |
2018. 9. 17~20 | 제103회 총회(제주 해비치호텔), 제주 4.3 기념예배, 사회선교사제도 시행 |
2019. 2. 15 | 3.1운동 100주년 맞아 기념예배 자료집 발간 |
2019. 4. 9 | 강원도 고성 속초 산불 피해 교회를 위해 헌금 요청, 기장 교회 적극 참여 |
2019. 4. 27 | 4.27 DMZ민+평화손잡기 행사 참여(기장교회 7천여 명 참석) |
2019. 5. 14~16 | 제9차 기장 세계선교보고대회 |
2019. 9. 23~26 | 제104회 총회(변산 대명리조트), 기장과 독일개신교연대(EMS) 선교협약 45주년 기념예배, 기장과 인도네시아 동부자와교회와 선교협력 조인, 기장과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선교협력 조인 |
2019. 9. 26~30 | 기장과 독일개신교연대(EMS) 45주년 Consultation |